본문 바로가기
blahblah

[스크랩] 중국산 소곱창?

by 유키 2007. 6. 12.

어제 먹은 소 곱창 혹시 중국산?
수입 금지된 生쇠고기·소 부속물 인터넷 P2P 방식으로 은밀한 흥정 후 밀거래된 듯
송홍근 기자 carrot@donga.com  - 주간동아 No.589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략)

그런데 ‘주간동아’의 추가 취재 결과, 멸균처리된 캔 쇠고기와 달리 수입이 금지된 생고기 형태의 중국산 쇠고기와 소 부속물(내장 등)이 한국으로 반입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

구제역 발생 국가인 중국에서는 쇠고기는 물론 그 부속물도 수입해서는 안 된다. 중국산 햄과 소시지 반입도 금지돼 있다. 캔 쇠고기처럼 멸균처리된 가공식품만 수입이 허용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식당에서는 쇠고기 원산지와 품종을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학교급식법과 식품위생법 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재완 의원의 설명부터 들어보자.

“보좌진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으로 캔 쇠고기를 수출하는 중국 산둥성의 한 쇠고기 가공공장에 한국인 5명이 찾아가 캔이 아닌 생고기 형태의 중국산 쇠고기를 한국으로 들여오려고 했다. 가축전염병예방법을 어기고 밀수를 시도한 것이다.”

‘주간동아’ 취재 결과, 생고기 형태의 중국산 쇠고기와 소 부속물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매개로 한 P2P(peer to peer) 형태로도 한국에 반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에 법인등록된 ‘○○넷’은 P2P 거간이 이뤄지는 인터넷사이트 중 하나. 판매자가 이 사이트에 품목과 메일주소, 전화번호를 올리고 구매자가 웹에 올린 연락처로 접촉해 물건을 들여오는 방식으로 거래되고 있다. 이 사이트 게시판에 올라온 글을 몇 개 살펴보자.

“한국으로 수출하는 꼬리곰탕 갈비탕을 판매하려 합니다. 포장은 비닐포장 통조림포장 두 가지입니다.”(최△△)

“한국으로 닭고기/ 쇠고기를 수출합니다. 상담전화 86-○○○-0542-○○○○.”

“중국산 쇠고기/ 소 부산물/ 양고기/ 양 부산물을 구입하고자 합니다.”(김○○)

쇠고기를 판다는 광고글을 올린 중국의 한 업자에게 전화를 걸어봤다. “곱창을 좀 사고 싶은데요”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 업자(말투로는 중국동포인 듯했다)는 “얼마나 사실 건데요”라고 되물었다. 소 부속물을 한국으로 얼마나 반출하느냐는 질문엔 “서울에서 많이들 사가신다”고만 답했다. 이 부속물은 멸균처리되지 않은 것이다. 그는 “(멸균처리되지 않은) 쇠고기도 한국으로 반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략)

--------------------------------------------------------------------------------------------------------------------------------------------------------------------------

중국산 갈비탕 보도를 보고 기겁했지만..... 열처리된 통조림은 그렇다쳐도 (그래도 기준치 1000배이상의 대장균이 검출됐다고 하나;; ㅡ.ㅡ^)
생고기까지 ... 막.. 곱창매니아가 되려고 하는 찰나 너무나 가혹한 현실앞에서 패닉상태....
정녕 이런식으로 나온다면 앞으론 비싼 곱창집만 찾아가주겠어... 우어;;;;; 가격으로 기준을 정해야하는 어처구니 없는 현실;; ㅠ.ㅠ

'blahbla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지역 대구탕...  (2) 2007.06.12
신사동 홍미닭발  (5) 2007.06.11
봄비..  (2) 2007.05.24